1~5월 주택시장 '인허가 24%↓ 착공 31%↑ 분양 95%↑'
상태바
1~5월 주택시장 '인허가 24%↓ 착공 31%↑ 분양 95%↑'
  • 이소혜 기자
  • 승인 2024.06.28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2024년 5월 주택 통계' 발표

서울 아파트 거래량 5182건
3년3개월 만에 최다

미분양, 5월 말 기준 총 7만2129가구
전월 대비 0.2% 증가
24년 5월 주택통계

올해 1~5월 주택 인허가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 감소했다. 공사비가 급등하고 부동산 경기가 꺼지면서 자금조달이 힘들어지자 인허가 신청 자체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반면 착공은 정부 기관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덕분에 같은 기간 30% 이상 증가했고, 분양도 100% 가까이 늘어났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5월 주택 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주택 인허가는 1~5월 누계기준 12만5974가구로, 전년 동기(16만5896가구) 대비 24.1% 떨어졌다. 그러나 착공은 10만6537가구로 전년 동기(8만1083가구) 대비 31.4% 증가했다. 분양은 9만840가구로 전년 동기(4만6670가구) 대비 94.6% 증가했다.

 

5월 통계를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봐도 봐도 인허가는 줄고 착공과 분양은 늘었다. 5월 인허가는 2만3492가구로 전년 동월(3만6065가구) 대비 34.9% 감소했다. 착공은 1만7340가구로 전년 동월(1만2269가구) 대비 41.3% 증가했다. 분양은 5월 기준 2만179가구로 전년 동월(7439가구) 대비 171.3% 뛰었다.

 

한성수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공사비가 오르고 자금 조달이 힘들어지면서 새롭게 주택 건설 사업을 시작하는 게 어려운 상황이다 보니 지난해보다 인허가 건수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과장은 "착공 물량이 늘어난 건 과거에 인허가만 받고 공사를 시작하지 못했던 사업장들이 이제 막 공사를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본 PF에 대한 보증을 서주면서 브리지론에서 본 PF로 넘어가는 사업장들이 많아지며 착공 물량이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은 착공과 함께 분양도 시작돼서 분양 물량도 덩달아 늘어났다.

 

준공물량은 1~5월 누계 기준 18만3638가구로 전년 동기(15만7583가구) 대비 16.5% 증가했다. 5월만 봐선 2만9450가구로, 전년 동월(3만3720가구) 대비 12.7% 감소했다.

 

한편 5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5만7436건으로, 전월 대비 1.3% 감소했다. 다만 1~5월 누계 기준으로 보면 25만4991건으로 전년 동기(22만2016건) 대비 14.9% 증가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5182건으로 전월보다 7.1%, 작년 같은 기간보다 39.3% 증가했다. 지난달 거래량은 부동산값 상승기였던 2021년 2월(5435건) 이후 3년3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2만7736건으로, 전월 대비 7.2% 줄었다. 1~5월 누계 기준으로는 123만1289건이었다. 전년 동기(124만8399건) 대비 1.4% 감소한 수치다.

 

미분양 물량은 5월 말 기준 총 7만2129가구로, 전월 대비 0.2%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3230가구로 전월 대비 2.0% 늘어났다. 한 과장은 "미분양은 분양 물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는 지방 미분양 물량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세제 산정 시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완료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CR) 리츠(REITs)가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면 취득세 중과를 배제해주는 조치도 했다"며 "최근 CR리츠 미분양 아파트 매입을 위한 사전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계의 관심이 높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